본문 바로가기
경제

오피스텔 주택 수 포함 기준 관련 세금

by daysky 2025. 3. 31.
반응형

오피스텔이 주택에 포함이 되는지 안되는지 가장 혼동이 되는데 이는 주택 포함 여부에 따라 납부해야 할 세금과 청약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오피스텔 주택 수 포함 기준과 관련 세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피스텔 주택수 포함 기준

오피스텔은 업무용과 주거용으로 구분되는데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 주거용이므로 단순하게 주택에 포함되어 재산세와 같은 세금도 부과되는 것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확인해 보니 부동산 정책에 따라 오피스텔은 주택에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지난 2024년 1월 부동산대책 발표에서 오피스텔 취득시 취득세, 종부세, 양도세 산정 시 주택 수에서 제외되는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준공일 2024년 1월 ~ 2025년 12월 준공
  • 취득가액 수도권 6억 원(지방 3억원) 이하, 전용면적 60㎡ 이하
  • 주거용 오피스텔 ,다가구주택, 도시형 생활주택(아파트 제외)

예외 사항으로 시가표준액 1억 미만의 오피스텔은 주택 수 산정에서 제외되고 2020년 8월 12일 이전에 취득한 오피스텔은 주거용으로 사용하고 재산세가 주택분으로 과세되고 있다 하더라도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청약 시 주거용 오피스텔 주택 수에 포함되나?

주거용 오피스텔 1채를 소유 중인 사람이 주택청약을 한다면 소유 오피스텔은 주택 수에 포함이 되지 않아 무주택자로 주택청약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거용 오피스텔이 주택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어 오피스텔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아파트를 매도하는 경우 1 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청약을 할 때는 주거용 오피스텔을 소유하고 있다고 해도 주택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오피스텔 관련 세금

  • 취득세 : 부동산을 구입시구입 시 가장 부담이 되는 비용이 취득세인데 특히 오피스텔 구입 시 아파트 및 일반주택의 취득세와 차이가 있어 구매 전에 세율을 적용하여 미리 계산을 해봐야 합니다. 오피스텔의 경우 일반 건물 취득세인 4.6%(취득세, 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 포함)를 납부해야 합니다.
  • 재산세 : 재산세는 소유한 부동산의 가치를 기준으로 부과되며 오피스텔의 경우 상업용 부동산으로 분류될 수 있어 세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종합부동산세 : 오피스텔이 일정 가치를 초과할 경우 종합부동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는 주택과 상업용 부동산 모두에 적용되는 세금으로 소유자가 보유한 부동산의 총가치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양도소득세 : 오피스텔을 매도할 경우 양도소득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매도 시 발생한 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주택과 상업용 부동산의 세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